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기 유아 분수토 설사 장염 증상 원인 바이러스 종류 치료방법

반응형

사랑스러운 아이의 탄생의 기쁨과 동시에 아이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잘 자라기를 바라는 게 부모의 마음일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성장하면서 갑자기 분수토를 하는 증상과 설사증상을 동반하고 있다면 즉시 소아과 및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에게서 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종류와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유아 분수토 설사 장염 바이러스 종류 치료방법
유아 분수토 장염 치료방법

 

장염원인 

영유아의 경우 면역력이 약하고 소화기관이 완성되지 않아서 성인에 비해 바이러스 감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소량의 바이러스균이 침투하면 세균성 감염으로 질병으로 나타 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장염이 위험이유는 바로 '탈수증상'때문인데, 유아의 경우 성인과 다르게 체중대비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탈수증상을 방지해 아하며 어린 영유아 스스로 갈증표현이나 수분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탈수증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장염 바이러스종류

  • 노로바이러스
  • 로타바이러스 
  • 아데노바이러스
  • 세균은 살모넬라, 이질, 대장균 등

바이러스 감염증상 

  • 노로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는 위와 장에 염증을 발생시키는 매우 작은 크기의 바이러스로 주로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바이러스로 유명하다. 겨울철 석화를 잘못 먹었을 경우 주로 노로바이러스로 인해 식중독 증상이 나타나며 소량의 바이러스의 침입으로도 감염이 된다. 보통 24~48시간의 잠복기가 있으며 초기증상으로 구토, 메스꺼움, 복통, 설사 등 장염의 증상을 동반하며 탈수증상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수분섭취를 자주 해야 한다. 특이사항으로 백신과 항생제가 없어 수분섭취하며 자연치유를 기다려야 한다.
반응형
  • 로타바이러스
    세계적으로 소아감염률이 95%이상으로 집계될 정도로 흔한 질병으로 소아 필수예방접종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들에게도 주로 발병한다. 주로 어린이집, 키즈카페 등 단체생활에서 감염되기 쉬우며 구토증상과 3~7일 정도 묽은 설사를 동반하는 증상으로 유명하며 구토와 고열이 흔한 증상이다.
  • 아데노바이러스
    눈꼽감기로 유명한 바이러스로 주로 소아어린이들에게서 초록색 눈곱과 같은 진물이 발생되면 아데노바이러스를 의심해야 한다. 특히 5세 미만 소아에게 발생빈도가 높으며 주로 비말로 감염되기 쉽다. 특히 2~14일 정도 잠복기가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감염을 초기에 알기 어렵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증상으로 고열, 기침, 콧물, 인후통 등 열감기 증상과 비슷하며 구토 및 설사를 동반하는 소화기관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심하게는 폐렴을 발생하기도 하는데, 항바이러스제가 없어 자연치유를 기다려야 하므로 면역력이 낮을수록 특히 조심해야 한다. 

장염 예방법 및 치료방법

장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대부분은 항생제와 백신이 없기 때문에 탈수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자주 수분섭취를 하며 자연치유를 기다려야 한다. 병원을 방문하더라도 탈수예방으로 수액을 맞거나 발열증상 시 해열제와 위장보호제 정도 처방을 받아 복용을 하며 기다려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최선의 치료방법은 장염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방법이다. 

장염 예방법 및 치료방법

  • 외출 후 비누나 손세정제를 사용하여 흐르는물에 30초 이상 손을 꼼꼼하게 씻는다.
  • 음식 섭취시 날것의 섭취를 금하고 중심부 온도를 75도 이상 가열하여 익혀서 섭취한다.
  • 구토 및 설사로 인한 옷과 이불은 뜨거운 물로 세탁하여 2차 감염을 예방한다.
  • 단체활동 시 마스크 착용과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한다.
  • 구토와 설사증상이 심할 경우 소아과 방문을 통해 입원치료를 권장한다.
  • 흰 죽을 먹는 것보다 영양 잡힌 죽을 섭취하고 충분한 수분섭취를 하며  신체 회복에 집중한다.

어린 자녀가 아플경우 온 가족이 걱정으로 밤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면력역이 약하기 때문에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